부동산 재산세 올라도 버틸 수 있을까?-일산, 부천, 대전, 의정부회룡, 노원- 신사임당X너나위
너나위님은 매주 목요일 '부동산'에 대하여 기사를 소개해주시고, 이에 관한 인사이트를 알려주십니다. 또한, 전화사연2(무작위), 접수받은 사연자 2명정도를 매주 상담해주십니다. 유튜브 컨텐츠가 거의 2시간에 육박하는 이상, 대충 보고 넘길 것이 아니라, 정리해서 다시 보기 좋게 하려고 정리한 글입니다. https://youtu.be/FJayCGA0m4E 기사1. 공동주택 공시가격 19.08%↑…세종은 70.68% '급등' 공동주택 공시가격 19.08%↑…세종은 70.68% '급등' 공시가격 급등지역과 수도권에서 재산세 부담 크게 늘듯 정부, 2021년도 공동주택 공시가격안 16일부터 열람 (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전국의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올해 공시가격이 작년에 news.naver.com ○ ..
더보기
25번째 부동산 대책, 버블위험? - 신사임당X너나위 성남, 회기역, 신내역, 인천계양, 부천
25년까지 전국 대도시에 약 83만호 주택 공급단지 공급 예정. 현재의 재건축 주택 물량은 130만호 정도 된다고 하니, 83만호가 공급된다는 건 크다. 대책리뷰1. 공공택지 - 빈 땅에 새로 건설하는 것. 수도권으로 생각하면 3기 신도시 같은 곳.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1)역세권 - 잠실은 개발이 잘 되어 있다. 반면, 청량리, 이문, 광운대 같이 역세권 개발이 나오는 곳은 잠실과 같지 않기 때문에 개발 이야기가 나오는 것. -> '높은 건물'이 없는 특징이 있음. 2)준공업지역 - 영등포 문래동 같은 유휴 부지, 주거지로 쓸만한 곳에 공급 3)저층주거지 *공공주도의 의미? 역세권 개발, 재개발은 조합이 주도했었는데, 공공이 주도하겠다는 이야기. 조합사업 같은 경우 조합설립동의는 75% 동의가 필요했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