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험생에게/공부법 - 공략집

2021 수능 국어 공부법 - 리트 공부법/PSAT 공부법 (1)

 

<바로가기 링크>

이윤규 변호사 공부법 활용(1) - 나는 무조건 합격하는 공부만 한다 및 유튜브 - 국가직 공무원, 변호사시험

로스쿨생이 말하는 국어 공부법 - 국어/언어/LEET/PSAT -- 2편

 

예전에 언어영역을 참 어려워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글을 읽어도 잘 기억도 안 나고, 답은 자꾸 틀리고. 

 

요즘 국어영역은 예전 수능 '언어'영역 시절과 다르게 법학적성시험 LEET 언어이해와 상당히 유사하게 변형된 것 같더군요. 그래도 '읽고' '푼다'는 건 그대로 적용이 된다고 생각해요. 

 

개인적으로 LEET도 응시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번 글을 통하여 '국어', '공무원 국어 독해'에 어려움을 겪는 '노베이스'분들을 위한 팁을 정리해드리려고 합니다. 

 

사실 시중에 '국어'영역에 대한 다양한 공부법이 많습니다. 이항대립, 동그라미와 세모를 치고 읽어라 등의 내용 등이 많습니다. 이러한 Skill 등은 물론 독해에 도움이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간단한 것이 최고죠.(Simple is the best)  대부분 글을 잘 읽는 사람들은 '평범하게' 글을 잘 읽습니다. 

그들이 잘 읽는 이유는 1) 배경 지식이 풍부하고, 어휘력이 좋기 때문에 익히 아는 내용이 많고 2) 글의 흐름을 잘 이해합니다. 이항대립이나 동그라미 표시는 후자의 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요즘 수능국어 지문이 길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처음부터 욕심부려서 길고 어려운 글에만 매달리면 좌절하기 쉽상입니다. 보니깐, 2020년 수능 국어에서도 몇 몇 지문은 예전처럼 짧은 지문이 있더군요. 

 

그래서 옛날 지문이긴 하지만, 2009학년도 9월 수능 국어 지문을 가지고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영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어떻게 신비화되고 통속화되는가, 영웅에 대한 기억이 시대에 따라 어떤 변천을 겪는가를 탐구하는 것은 ‘더 사실에 가까운 영웅’의 모습에 다가서려는 이들에게 필수적이다. 영웅을 둘러싼 신화가 만들어지고 전승되는 과정과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특히 국민 정체성 형성에 그들이 간여한 바를 추적함으로써, 우리는 영웅을 만들고 그들의 초상을 새롭게 덧칠해 온 각 시대의 서로 다른 욕망을 읽어 내어 그 시대로부터 객관적인 거리를 획득한다.
 무릇 영웅이란 죽고 나서 한층 더 길고 ⓐ 파란만장한 삶을 살아가며, 그런 사후 인생이 펼쳐지는 무대는 바로 후대인들의 변화무쌍한 기억이다. 잔 다르크는 계몽주의 시대에는 ‘신비와 경건을 가장한 바보 처녀’로 치부되었지만, 프랑스 혁명기와 나폴레옹 집권기에 와서는 애국의 ⓑ 화신으로 추앙받기 시작했다. 민족주의의 성장과 더불어 그 숭배의 열기가 더 달아올라, 19세기 공화주의적 민족주의자들은 잔을 ‘프랑스의 수호자’이자 ‘민중의 딸’로 재창조했다. 국경을 넘어 20세기 여성 참정권자들에게 잔은 ‘전투적 페미니즘’의 상징이었고 한국에서는 ‘프랑스의 유관순 열사’로 기억되었다.
영웅에 대한 후대인들의 기억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추구하는 문제의식의 배경에는 ㉠‘기억의 관리’가 부와 권력의 분배 못지않게 중요한 사회적 과제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 인간의 기억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틀 내에서 형성되며,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한된 특정한 사회 집단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전해진다. 그래서 기억의 문제는 개인적이라기보다는 집단적이며 사회적인 권력의 문제이다. 동시에 이는 기억과 ⓓ표리 관계인 망각의 문제이기도 하다.
 근대 역사에서 기억이 구성되고 가공되는 데 가장 중요한 단위는 ‘민족’이었다. 근대 역사학 자체의 탄생과도 밀접하게 관련되는 ‘민족의 과거’에 대한 기억에서 영웅은 중요한 기억의 터전을 차지해 왔다. 이때 영웅은 그저 비범한 능력의 소유자에 그치지 않고 민족의 영광과 상처를 상징하는 육화된 기호로서 구성원에게 동일시할 대상으로 나타난다.
 이때 영웅은 종종 ‘애국’의 덕목과 결부되었다. 한국에서도 봉건 시대에 충군의 이념에 충실했던 인물이 계몽 운동기에 들어서 구국의 영웅으로 재탄생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박은식, 신채호 등 개화기 지식인들이 ‘민족정신’에 눈뜨면서 재발견한 이순신이나 을지문덕과 같은 영웅은 이제 ‘충군’이 아닌 ‘애국’을 ⓔ지상 과제로 삼는다. 이 같은 근대의 영웅은 서로 모르는 사람들을 하나의 ‘국민’으로 묶어 주는 상상의 원천이 되었다. 이렇게 영웅은 구성원 모두를 상하, 수평 관계 속에서 매개하고 연결한다는 의미에서 하나의 미디어였다.

 

평가원의 대부분 글은 'A'라는 주제가 어떻게 '변화되고, 변주'되는 지를 따라가면서 정리하면 됩니다. 사람의 뇌는 '익숙하고, 이해한 것'은 잘 기억하고, 어렵고/복잡한 내용은 금방 잊어버립니다. A라는 내용이 어떻게 변주되는 지 

 

사실 저 글을 통채로 대충 읽고 문제 풀면, 읽고도 잘 기억이 안됩니다. A라는 주제가 어떻게 변주되는 지를 따라가면서 어려운 내용은 따로 '표시'만 해두면 됩니다. 이 글은 그리 난이도가 높지 않아서 표시해놓을 내용이 특별히 보이지 않지만, 어려운 글의 경우 '표시'를 해도록 합시다. 

 

 

 영웅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어떻게 신비화되고 통속화되는가, 영웅에 대한 기억이 시대에 따라 어떤 변천을 겪는가를 탐구하는 것은 ‘더 사실에 가까운 영웅’의 모습에 다가서려는 이들에게 필수적이다. 영웅을 둘러싼 신화가 만들어지고 전승되는 과정과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특히 국민 정체성 형성에 그들이 간여한 바를 추적함으로써, 우리는 영웅을 만들고 그들의 초상을 새롭게 덧칠해 온 각 시대의 서로 다른 욕망을 읽어 내어 그 시대로부터 객관적인 거리를 획득한다. 
 무릇 영웅이란 죽고 나서 한층 더 길고 ⓐ 파란만장한 삶을 살아가며, 그런 사후 인생이 펼쳐지는 무대는 바로 후대인들의 변화무쌍한 기억이다. 잔 다르크는 계몽주의 시대에는 ‘신비와 경건을 가장한 바보 처녀’로 치부되었지만, 프랑스 혁명기와 나폴레옹 집권기에 와서는 애국의 ⓑ 화신으로 추앙받기 시작했다. 민족주의의 성장과 더불어 그 숭배의 열기가 더 달아올라, 19세기 공화주의적 민족주의자들은 잔을 ‘프랑스의 수호자’이자 ‘민중의 딸’로 재창조했다. 국경을 넘어 20세기 여성 참정권자들에게 잔은 ‘전투적 페미니즘’의 상징이었고 한국에서는 ‘프랑스의 유관순 열사’로 기억되었다. 
 영웅에 대한 후대인들의 기억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추구하는 문제의식의 배경에는 ㉠‘기억의 관리가 부와 권력의 분배 못지않게 중요한 사회적 과제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 인간의 기억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틀 내에서 형성되며, 시간적, 공간적으로 제한된 특정한 사회 집단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전해진다. 그래서 기억의 문제는 개인적이라기보다는 집단적이며 사회적인 권력의 문제이다. 동시에 이는 기억과 ⓓ표리 관계인 망각의 문제이기도 하다. 
 근대 역사에서 기억이 구성되고 가공되는 데 가장 중요한 단위는 ‘민족’이었다. 근대 역사학 자체의 탄생과도 밀접하게 관련되는 ‘민족의 과거’에 대한 기억에서 영웅은 중요한 기억의 터전을 차지해 왔다. 이때 영웅은 그저 비범한 능력의 소유자에 그치지 않고 민족의 영광과 상처를 상징하는 육화된 기호로서 구성원에게 동일시할 대상으로 나타난다.
 이때 영웅은 종종 ‘애국’의 덕목과 결부되었다. 한국에서도 봉건 시대에 충군의 이념에 충실했던 인물이 계몽 운동기에 들어서 구국의 영웅으로 재탄생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박은식, 신채호 등 개화기 지식인들이 ‘민족정신’에 눈뜨면서 재발견한 이순신이나 을지문덕과 같은 영웅은 이제 ‘충군’이 아닌 ‘애국’을 ⓔ지상 과제로 삼는다. 이 같은 근대의 영웅은 서로 모르는 사람들을 하나의 ‘국민’으로 묶어 주는 상상의 원천이 되었다. 이렇게 영웅은 구성원 모두를 상하, 수평 관계 속에서 매개하고 연결한다는 의미에서 하나의 미디어였다.

 

 위 글은 '영웅'을 중심으로 변주가 되는 포인트를 표시하면서 읽으면 구조적으로 잘 정리하면서 읽을 수 있습니다. 

한 때 유행했던 방법으로 '문단별 요약'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문단별 요약이 깔끔하게 떨어지는 글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리 추천드리는 방법은 아닙니다. 다만, 모든 글은 '주제'를 중심으로 변주가 일어나고, 어려운 내용은 따로 표시해두고 나중에 문제 풀 때 다시 '찾아간다'는 개념으로 접근한다면 수능 국어의 기본은 다졌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